본문 바로가기
정책 지원 제도

여성농업인 건강검진 지원 절차(2025년 기준)

by 삶의지혜정보통 2025. 8. 23.
반응형

1. 제도 개요



내용: 여성농업인은 농작업 과정에서 근골격계 질환, 심혈관계 질환, 폐기능 저하, 농약 중독, 골절·손상 위험 등에 특히 취약합니다. 이를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제도가 바로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지원사업입니다.

 

검진 주기: 2년마다 1회

검진 항목:
근골격계 질환, 2) 심혈관계 질환, 3) 낙상·골절 위험, 4) 폐활량·폐기능, 5) 농약 중독 등 총 5개 영역 10개 항목

사후 예방 교육: 근골격계 질환, 농약 중독, 낙상·골절 예방, 심혈관계 질환 예방
(출처: 농림축산식품부 2025년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사업 지침,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)

 

 

여성농업인 유병률

2. 지원 대상



연령 기준: 만 51세~70세 여성농업인
(2025년 기준: 1955년 1월 1일 ~ 1974년 12월 31일 출생자)
출생 연도 기준: 홀수년도 출생자 (2025년은 홀수년도 대상)
자격 요건: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여성농업인 (경영주, 공동경영주 또는 등록된 종사자)
※ 단, 최근 2년 내 동일 검진을 받은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.

 

 


3. 검진신청 및 절차

 

 

 




4. 비용 구조

 



총검진 비용 약 22만원 (지역별 소폭 차이 있음)

부담 비율

국비 50%

지방비(도비+시·군비) 40%

개인 자부담 10% (약 2만 원 내외)




5. 지역별 신청 일정 예시 (2025년)

 



전주시: 2025. 3. 4.~3. 19. 접수 (70세 대상자 우선 선정)

김천시: 2025. 2. 28.까지 1차 추가 모집, 약 650명

창원시: 2025. 4. 1.부터 예산 소진 시까지 신청 가능

※ 지자체별 모집 인원, 기간, 우선순위가 다르므로 반드시 거주지 주민센터 또는 농업정책과에 문의해야 합니다.

 

 

 

6. 마무리

 

 


여성농업인 특수건강검진은 작업 중 발생할 수 있는 만성질환과 사고를 조기에 발견하고 예방하는 핵심 제도입니다.

매년 대상자 출생 연도 확인

읍·면·동 주민센터 문의 필수

문자 안내 확인 후 반드시 예약 진행 

을 기억해 두면, 검진 혜택을 놓치지 않고 받을 수 있습니다.